| 
 한상희  | 
 <인권의 지역화 – 더 나은 인권거버넌스를 위한 제언)>  | 
| 
 박영철  | 
 <조례를 통해 본 지자체 인권위원회의 역할과 한계>  | 
| 
 염경형  | 
 <인권거버넌스와 지자체 인권행정의 미래>  | 
| 
 김은희  | 
 <공무원 인권교육을 위한 제언>  | 
| 
 김종식  | 
 <공무원 인권교육의 사례 : 광주광역시 광산구>  | 
| 
 김원규  | 
 <인권업무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 진정사건 사례를 통해본 인권업무>  | 
| 
 노정환  | 
 <인권교육을 잘하기 위한 101가지 조건>  | 
| 
 안시형  | 
 <시민 인권교육의 경험 1 : 서울 금천구>  | 
| 
 서정화  | 
 <시민 인권교육의 경험 2 : 서울 은평구>  | 
| 
 이정은  | 
 <지자체 인권기본계획은 무엇이며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 
| 
 양선호  | 
 <인권영향평가 서울 성북구의 사례>  | 
| 
 한채윤  | 
 <혐오는 어떻게 발생하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