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1장. 환경분석 및 자료조사
1. 인권아카이브의 필요성 2
1.1. 국제기구의 인권 아카이브에 대한 관점 2
1.2. 인권기록 및 인권 아카이브 연구 5
1.3. 해외 유사기관 11
1.4. 시사점 종합 19
2. 환경 분석 21
2.1. 국가인권위원회 현황 21
2.2. 인권단체 현황 분석 25
3. 사례분석 30
3.1. 국내 아카이브 31
3.2. 해외 아카이브 54
3.3. 시사점 종합 61
4. 주요 이슈 및 추진과제 도출 63
4.1.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주요 이슈 도출 63
4.2.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핵심 추진과제 도출 66
제2장. 운영방안 수립
1. 한국인권아카이브 방향성 설정 70
1.1. 한국인권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내?외부 관계자 의견 수렴 70
1.2. 한국인권아카이브 사명과 비전 수립 81
1.3. 한국인권아카이브의 위상과 역할 84
2. 인권기록정보자료 수집정책 및 전략 85
2.1. 수집의 목적 및 수집기능 정의 85
2.2. 수집전략의 수립 86
2.3. 수집방법 90
2.4. 수집기법 107
3. 업무효율화를 위한 인프라 구성 방안 112
3.1. 법?제도 정비 112
3.2. 조직 구성안 118
3.3. 공간 구성안 122
4. 한국인권아카이브 업무기능 및 프로세스 설계 129
4.1. 아카이브 기능 129
4.2. 아카이브 기능별 업무프로세스 131
5. 주요 아카이빙 기능별 전략 153
5.1. 주요 아카이빙 기능별 전략 : 네트워크 구축 153
5.2. 주요 아카이빙 기능별 전략 : 디지털 변환 157
5.3. 주요 아카이빙 기능별 전략 : 선별평가 및 처분 165
5.4. 주요 아카이빙 기능별 전략 : 아웃소싱 169
5.5. 주요 아카이빙 기능별 전략 : 서비스 173
제3장. 아카이브시스템 구축 방안
1. 한국인권아카이브시스템 개요 181
2. 시스템 구축 전략 182
2.1. 단계적 구축 182
3. 시스템 구축 방안 182
3.1. 아키텍처 182
3.2. 응용 및 데이터 구조 185
3.3. 필요 기능 187
3.4. 개발비 산출(1안) 188
4. 과업지시서 작성 189
제4장. 중장기 로드맵 수립
1. 아카이브 구축단계 설정 193
1.1. 단계별 구축계획 개요 193
1.2. 단계별 세부추진과제 정의 194
2. 핵심과제별 이행계획 195
2.1. 업무 효율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196
2.2. 인권기록정보자료의 수집과 네트워크 구축 199
2.3. 아카이브 업무 기능 설계 205
2.4. 한국인권아카이브시스템 구축계획 206
3. 소요예산 210
3.1. 기본 방향 210
3.2. 아카이브 구축단계별 소요예산 210
3.3. 핵심과제별 소요예산 211
부록
부록1. 한국인권아카이브 기록물 기술지침 215
부록2. 한국인권아카이브 비공개 기준 228
부록3. 한국인권아카이브 보존용품 가이드 234
부록4. 한국인권아카이브 분류체계 및 메타데이터 239
표 차례
표 1.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시설 기준 24
표 2. 아카이브 장비 및 비품 예시 24
표 3 아카이브 및 DB 구축 인권단체 현황 29
표 4 기관별 사례분석 요소 31
표 5 콜롬비아대학 Center fot Human Rights Documentation&Reserch 컬렉션 가이드 항목 55
표 6 듀크 인권 아카이브 컬렉션 구성 59
표 7 내?외부 관계자 의견 수렴 시사점 종합 80
표 8 한국인권아카이브 사명(안)에 따른 지향성 82
표 9 한국인권아카이브 비전(안)에 따른 미래상 83
표 10 수집정책문의 구성요소(*표시는 필수) 87
표 11 한국인권아카이브 수집 우선순위 기준 89
표 12 한국인권아카이브 주요 수집유형 90
표 13 네트워크수집을 위한 주요 수집처 및 수집방안 92
표 14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공식 간행물/발간물 현황 93
표 15 국가기록원 소재 인권 관련 기록(일부 예시) 95
표 16 한국인권아카이브 기획수집 -인권위 기능- 수집유형 100
표 17 한국인권아카이브 기획수집 -인권단체- 수집유형 101
표 18 한국인권아카이브 기획수집 -인권운동사- 수집유형 102
표 19 한국인권아카이브 수집방안 – 정보수집 유형 106
표 20 한국인권아카이브 정보유형간 주요 관계유형 107
표 21 리드파일의 예시 111
표 22 한국인권아카이브 운영규정(안) 117
표 23 국가인권위원회 기록관리규정 구성(안) 118
표 24 아카이브 단계별 추진목표에 따른 인력구성(안) 121
표 25 기록물관리기관의 보존시설 및 장비의 기준 127
표 26 한국인권아카이브 전체 영역별 필요장비 목록 128
표 27 한국인권아카이브 대기능 정의 129
표 28 한국인권아카이브 전체 기능 설명 131
표 29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대상기관 155
표 30 기록물의 보존방법별 구분 기준 158
표 31 디지털변환 계획서 작성 순서 164
표 32 한국인권아카이브 아웃소싱 대상업무(안) 171
표 33 한국인권아카이브 서비스 전략에 따른 추진과제 174
표 34 한국인권아카이브 이용자 세분화와 서비스 요구 175
표 35 한국인권아카이브 서비스 유형화 177
표 36 오프라인 공간을 활용한 서비스 유형별 프로그램 구성(예시) 178
표 37 온라인 서비스 구성요소 178
표 38 한국인권아카이브시스템 구성 181
표 39 단계별 시스템 구축 범위 182
표 40 하드웨어 구성 184
표 41 소프트웨어 구성 185
표 42 백엔드시스템 필요 기능 187
표 43 프론트엔드시스템 필요 기능 187
표 44 응용소프트웨어 신규개발비 산정내역 188
표 45 소프트웨어 구매비 산정내역 188
표 46 하드웨어 구매비 산정내역 188
표 47 아카이브시스템 개발비 산출내역 188
표 48 한국인권아카이브 단계별 로드맵(안) 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