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30일(목) "북한인권 국제심포지엄-북한인권 개선과 국제협력"을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통일관 정산홀(삼청동)에서
개최합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정부, 비정부차원에서 북한인권문제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다양한 단체와 여러 국가에서 참여할
예정이며 심도 있는 논의가 오갈 것입니다.
바쁘신 와중에 오셔서 참석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일 시: 2006년 11월 30일(목) 09:30-18:30
* 주 제: International Symposium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 주 최 : 국가인권위원회,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 장 소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정산홀 (서울 종로구 삼청동 소재)
<< 프로그램 >>
09:30-10:00
[개회식]
* 사 회: 김인재(국가인권위원회 인권정책본부 본부장)
* 개회사: 안경환(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 기조연설:
박종화(경동교회 목사)
10:00-12:00 [세션 1-1]
: 국제사회와 북한인권: 국가적 차원의 북한인권
* 사 회:
최영애(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 발 표:
- "미국의 대북정책과 북한인권", L. Gordon Flake(The Maureen
& Mike Mansfield Foundation 사무총장)
- "북한: 압박과 대화의 필요성 - Rafto Human Rights
House와 노르웨이의 입장", Jan Ramstad(Rafto Human Rights
House 재단 이사장)
- "한국의
대북정책과 북한인권", 이금순(통일연구원 연구위원)
* 토 론:
- Sandip Kumar Mishra(인도 델리대 교수)
-
박순성(동국대 교수)
- 조호길(중국공산당 중앙당학교 교수)
13:30-15:30 [세션 1-2]
: 국제사회와
북한인권: 국가적 차원의 북한인권
* 사 회: 신혜수(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유엔여성차별철폐위 위원)
* 발 표:
- "중국의
개혁개방과 인권사업", 김경일(북경대 교수)
- "러시아의 대북인권 정책과 입장, 그리고 동북아에 대한 안보적 함의", Vasily V.
Mikheev(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국제관계 및 국제경제연구소(IMEMO) 부소장)
- "북한의 인권인식과 인권정책", 김수암(통일연구원
연구위원)
* 토 론:
- 이진영(인하대 교수)
- 이지수(명지대 교수)
- 김근식(경남대
교수)
15:40-17:40 [세션 2]
: 비정부 기구(NGO, INGO)와 북한인권: 비국가적 차원의 북한인권
* 사
회: 윤대규(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소장)
* 발 표:
- "개성공단 노동자의 인권문제", 양문수(북한대학원대 교수)
-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 평가와 생존권 개선방안", Rajiv Narayan(Amnesty International 동북아시아 연구원)
-
"탈북자의 인권상황과 개선방안", 법륜 스님(좋은벗들 이사장)
- "중국 국내외 탈북자 문제: NGO의 역할", Peter M.
Beck(국제위기감시기구 동북아시아 사무소 소장)
* 토 론:
- 김화순(한국기술교육대 HRD연구소 연구원)
-
이용선(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평화나눔센터 사무총장)
- Stephen W. Linton(유진벨재단 회장)
- 이영환(북한인권시민연합
조사연구 팀장)
17:50-18:20 [세션 3] 자유토론
* 사 회: 최영애(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18:20
[폐회식]
* 사 회: 김인재(국가인권위원회 인권정책본부 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