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세계대전 이후 세계 각국은 인간의 태생적, 후천적 특성을 이유로 하는 차별에 대한 법제도적 장치를
만들어왔음. 특히 자유방임국가의 대표로 알려진 미국이 차별금지법을 마련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는데, 이는 영국,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스웨덴 등에 모델이 되었음.
한편, 차별에 대한 국제적 인식의 확대로 각종 규약 및 국제기준이 마련되어 왔는데, 이에 따라 각국은 국제적 기준의 국내적 이행을 위한 법적 장치를 생산?확대해왔고, 차별 피해자의 차별시정운동도 차별금지법 제정에 중요한 역할을 함.
각국의 차별금지법은 그 사회가 추구하는 이념, 역사적 배경, 차별의 현실, 그리고 시민운동의 성격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졌고, 차별금지법에 근거하여 차별을 시정하기 위하여 사법적 구제와는 다른 독립기구나 행정기구에 의한 구제제도를 채택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