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자유를 위해 버스를 타지 않았다 (1955)
1950년대 미국 남부는 인종차별법인 짐 크로법(Jim Crow Law)에 의해 거의 모든 영역에서 흑인과 백인 간 분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교, 공원, 극장, 식당, 버스 등 일상생활에서 흑인과 백인은 전용석으로 분리되어 따로따로 생활하였다. 로자 파크스(Rosa Parks, 1913~2005)와 381일간의 버스 보이콧은 이런 시대적 배경에서 일어났다.
 
로자 파크스는 몽고메리 페어백화점 재단사이자 미국흑인지위향상협회 몽고메리 지부 간사로 활동하고 있었다. 1955년 12월 1일 그날도 여느 때처럼 로자는 하루 일을 마치고 버스를 탔다. 짐 크로법에 따라 유색칸으로 표시된 좌석들 중 가장 첫 줄에 앉은 그녀에게 얼마 후 버스 운전기사가 다가와 일어나라고 요구했다. 버스가 정류장을 지나는 동안 백인 전용칸의 좌석들이 점점 차면서 서서 가는 백인이 생겼기 때문이었다. 기사는 유색칸 표시를 로자가 앉은 자리 뒤로 옮기고 앉아있던 네 명의 흑인들에게 자리를 비워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세 명의 흑인들은 일어났고 로자는 거부하였다. 백인 좌석에 앉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어날 필요가 없다는 생각에서였다.
결국 기사는 경찰을 불렀고 로자는 체포되어 몽고메리시 조례를 위반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로자가 위반한 조례란 버스 좌석에서 흑백 분리를 허용하는 것으로, 1900년에 제정되었다. 이 조례에 의해 버스 기사는 흑인이 앉아야 할 자리를 지정하거나 자리에서 일어서게 할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체포된 로자 파크스
 
로자 이전에도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요구를 거부한 흑인의 사례는 있었다. 그리고 로자의 사건을 계기로 드디어 몽고메리의 흑인들은 버스 보이콧 운동에 나서기로 하는데, 이 운동을 이끈 이가 바로 당시 몽고메리에서 목사로 있던 마틴 루터 킹 목사이다.
버스 보이콧 운동은 매주 월요일마다 모든 흑인들이 버스를 타지 않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몽고메리의 4만명의 흑인 노동자들은 월요일마다 걸어서 출퇴근하거나 흑인끼리 카풀을 했다. 또 버스요금만큼만 받고 운행하는 택시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당시 버스 승객의 75%가 흑인이었으므로 이 운동으로 버스회사는 큰 타격을 입었다.
 
결국 1956년 6월 19일 연방법원은 흑백분리를 규정한 몽고메리시의 조례가 수정헌법 14조 위반이라고 판시했고, 11월에는 연방대법원이 주내(州內)를 운행하는 버스에도 흑인석과 백인석을 나누는 것이 위헌이라고 판시했다. 그전에는 주간(州間) 운행 버스의 인종분리만 위헌으로 인정되었다. 흑백분리를 폐지하라는 법원의 명령이 몽고메리에 도착한 다음날인 12월 21일 마침내 버스 보이콧은 끝났다. 킹 목사는 흑백통합버스에 승차하는 최초의 흑인이 되었다. 이렇게 몽고메리의 버스 보이콧 운동은 381일동안 지속되었다.
 
로자 파크스와 마틴 루터 킹 목사
 
보이콧이 진행되는 동안 로자는 불법 보이콧을 조직했다는 이유로 또다시 체포되었다. 또 그녀와 남편 모두 직장을 잃었으며, 킹 목사를 비롯한 운동 지도자들의 집에는 폭탄이 날아들었다. 몽고메리시를 떠난 로자는 1957년부터 이 사건을 알리기 위해 각지를 돌며 연설하였다.
킹 목사 또한 이 사건을 계기로 본격적인 흑인인권운동에 뛰어들었다. 1963년 미국에서 가장 인종차별이 심한 버밍햄에서 다양한 비폭력운동을 전개하다 투옥되었으며, 그 해 8월에는 단결, 인종화합, 민권법안의 통과를 위해 워싱턴 D.C를 향한 도보대행진에 참가하였다. 그 유명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연설이 나온 것도 이때이다.
 
행진에 모인 참석자들
 
로자 파크스는 1965년부터 아프리카계 하원의원의 비서로 일하다 1988년 은퇴하였다. 1996년 빌 클린턴 대통령은 미 행정부가 헌정할 수 있는 최고의 명예인 대통령 자유메달을 그녀에게 수여하였다. 2005년 10월 24일 92세로 로자가 운명하자 미 양원은 그녀의 유해를 의사당에 명예안치하기로 하는데, 이는 역대 31번째로 여성으로는 첫 번째, 흑인으로는 두 번째였다. 그의 장례식에 참석한 콘돌리사 라이스는 로자가 없었다면 자신이 국무장관이 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부시 대통령은 국내외 모든 미국 공공건물에 조기를 달도록 하였다.
 
• 참고도서
참고도서 : 그들은 자유를 위해 버스를 타지 않았다 그들은 자유를 위해 버스를 타지 않았다(2008)
평범한 흑인들의 버스안타기운동이 인종분리법 철폐로
이어지기까지 과정이 당시 사진과 함께 생생히 그려져 있다.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