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 프라이버시의종말과 감시사회의 도래 = 1
1. 감시기술의 발달과 감시활동의 확대 = 1
2. 감시의 동기 = 9
3. 감시의 문제점 = 10
II. 제3세대 프라이버시권으로서의 반감시권의 정립의 필요성 = 11
1. 제1세대 프라이버시권 = 11
2. 제2세대 프라이버시권 = 13
3. 제3세대 프라이버시권으서의 반감시권의 정립 필요성 = 15
III. 반감시위원회의 설치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통합입법의 제정필요성 = 23
1. 반감시위원회의 설치의 필요성 = 23
2. 포괄적인 프라이버시 보호입법의 제정 = 34
IV. 국가의 감시활동과 그에 관한 개별 법제의 검토 = 37
1. 호적제도와 주민등록제도에 대한 검토 = 37
2. 전자정보 추진의 문제점과 행정정보 공동이용과 전산망 통합의 문제점 = 56
3. 국가의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에 관하여 -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 69
4. 통신비밀보호의 문제 = 77
V. 민간영역에서의 감시와 프라이버시의 보호 = 86
1. 신용정보의 보호에 대한 문제 = 87
2. 보험관련 정보의 보호 = 112
3. 위치정보의 보호 = 116
VI. 노사관계에서의 감시에 대한 규제 = 125
1. 노동감시기술의 발달 = 125
2. 최근의 노동감시의 특징 = 125
3. 노동감시의 특수성 = 128
4. 노동감시에 대한 입법의 필요성과 기본원칙 = 129
5. 노동감시와 노동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해외의 입법현황 = 138
6. 노동감시 규제 및 노동자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입법의 체계와 법률의 내용 =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