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주제. 유럽에서의 인권교육실천과 한국 인권교육 방향
【 발 제 】 유럽의 인권교육 / Hugh Starkey = 3
【 토론1 】 유럽의 인권교육에 비추어 본 교훈 / 구정화 (경인교육대학교) = 37
【 토론2 】 유럽 인권교육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배경내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 47
제2주제. 미국에서의 인권교육실천과 한국 인권교육 방향
【 발 제 】 미국의 인권교육 “집 가까이, 작은 곳에서” / Kristi Rudelius-Palmer = 65
【 토론1 】 미국 인권교육의 시사점과 한국 인권교육의 방향 / 김중섭 (경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101
【 토론2 】 미국 인권교육 실천의 한국 적용과 향후 과제 / 박현희 (구일고등학교 교사) = 109
제3주제. 한국 인권교육 제도화와 인권교육기관 설립 방향
【 발 제 】 한국 인권교육의 현황과 인권교육기관 설립의 필요성 / 송현정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 123
【 토론1 】 인권교육의 제도화 방안과 인권교육원 / 이명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 159
【 토론2 】 인권교육원의 설립과 운영방안 / 오완호 (한국인권행동 사무총장) = 165
부록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안(인권교육 부분 발췌) =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