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 1
제2장 생명윤리법의 문제점 분석 = 3
I. 서설 =· 3
II. 생명윤리법의 문제점 분석 = 3
  1. 생명윤리법의 일반법으로서의 성격 = 3
  2.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및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 7
  3. 인간배아 연구 = 15
  4. 유전자 검사 및 정보은행 = 21
  5. 유전자 치료 = 25
III. 생명윤리법의 개선안 = 27
  1. 법률의 목적 = 29
  2. 정의조항 = 30
  3. 법률의 적용범위 = 31
  4.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구성 = 32
  5.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권한 = 34
  6. 기관생명윤리심의의원회의 구성과 권한 = 35
  7. 이종간 착상의 부분적 허용 = 36
  8. 잔여배아 연구의 허용 = 37
  9.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의 허용 = 38
  10. 유전자 검사 및 유전자은행 설립에 관한 국가기관에 대한 예외조항 = 40
  11. 기타 = 41
제3장 생명윤리 관련 국내현황 = 43
I. 인간배아(수정란) 창출 현황 = 43
  1. 인간배아 창출 현황 = 43
  2. 인간배아 관리 실태 = 45
  3. 인간배아 관리의 문제점 = 55
II. 유전정보 이용 = 57
  1. 의료적 이용 = 57
  2. 소인검사 등 상업활동 = 61
  3. 신원확인 = 64
  4.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유전정보 보호 = 72
제4장 법령 및 제도의 비교분석 = 75
I. 서설 = 75
II. 주요국제기구의 입법동향 = 75
  1. 유엔(UN) =76
  2. 유네스코(UNESCO) = 79
  3. WHO(세계보건기구) = 81
  4. OHCHR(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 81
III. 주요 국가의 입법동향 = 82
  1. 주요 국가의 배아연구 현황 = 82
  2. 유전자 검사 = 92
  3. 유전정보 등의 보호 및 이용 = 93
  4. 유전자 치료 = 94
IV. 주요 지역 정부간기구의 입법동향 = 96
제5장 생명과학 연구에 관한 생명윤리 가이드라인 = 97
I. 생명윤리 가이드라인의 기초 = 97
II. 생명윤리 가이드라인의 원칙 = 99
III. 주제별 생명윤리 가이드라인 = 100
  1. 인체 대상 연구의 일반적 가이드라인 = 100
  2. 윤리위원회 관련 가이드라인 = 102
  3. 자율성 존중과 동의 관련 가이드라인 = 111
  4. 동물연구 관련 가이드라인 = 118
  5. 줄기세포 연구 관련 가이드라인 = 120
  6. 줄기세포주 관련 가이드라인 = 126
  7. 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연구에 관한 가이드라인 = 134
제6장 결론 = 136
참고문헌 =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