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연구 개요 = 1
II. 쟁점 분석 = 7
  1. 교육 기회 = 7
  2. 학생 생활 = 51
  3. 유아교육 = 87
  4. 초등교육 = 91
  5. 중학교 교육 = 94
  6. 고등학교 교육 = 102
  7. 중등학교 교육 = 139
  8. 사회교육 및 평생교육 = 156
  9. 교원의 교육전문가로서 권리.신분 보장 = 166
  10. 교육당사자의 참여보장과 인권행정조직 정비 = 193
부록1. 국가인권정책 기본계획(안) = 213
부록2. 국가인권정책 기본계획(안) 정리표 = 250
부록3. 교육권 정책과제 우선순위(안) = 260
참고문헌 =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