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조사 개요 1
1. 조사의 목적 2
2. 조사 설계 2
3. 응답자 특성 3
제 2장. 결과 요약 4
제 3장. 조사 결과 16
1. 차별 경험 유무 17
2. 차별 사유 18
3. 차별 경험 장소 20
4. 차별 후 대처 23
5. 도움 요청 대상 26
6. 무대응 이유 29
7. 구제절차 실효성에 따른 조치 의향 여부 33
8. 우리사회 차별 심각성 36
9. 우리사회 가장 심각한 차별 37
1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차별대상 유무 39
11.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차별대상 40
12. 코로나19 계기 차별대상 42
13-1. 우리사회 차별 의식에 대한 동의 정도Ⅰ 43
13-2. 우리사회 차별 의식에 대한 동의 정도Ⅱ 44
13-3. 우리사회 차별 의식에 대한 동의 정도Ⅲ 45
13-4. 우리사회 차별 의식에 대한 동의 정도Ⅳ 46
13-5. 우리사회 차별 의식에 대한 동의 정도Ⅴ 47
14. 우리사회 과거 대비 차별 심화 정도 48
15. 우리사회 차별 심화 이유 49
16-1. 향후 차별 상황 전망: 사회적 갈등 심화 51
16-2. 향후 차별 상황 전망: 범죄 야기 52
16-3. 향후 차별 상황 전망: 완화·해소 53
17-1. 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정부 차원 종합적 대책 수립 54
17-2. 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인권·다양성 존중 학교교육 확대 55
17-3. 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국민인식 개선 교육·캠페인 강화 56
17-4. 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차별 금지 법률 제정 57
17-5. 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인권위 등 차별시정기구의 혐오차별 규제 강화 58
17-6. 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악의적 차별에 대한 형사처벌 59
17-7. 차별에 대한 대응 정책: 정치인?언론의 혐오 조장 규제 60
부록1. 통계표 61
부록2. 설문지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