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조 강연]
평등법의 역사와 정신
한상희(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위원장, 건국대 교수)
[제1세션]
평등법과 지자체의 책무
좌장 : 박찬운(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발표 1> 평등법과 지자체의 책무, 해외 입법례의 지역 적용사례
- 홍성수(숙명여대 교수)
<발표 2> 수원시 차별 구제 사례 및 한계
- 안세진(수원시 인권센터장)
[제2세션]
인권조례의 실효적 운영을 위한 방안
좌장 : 이성훈(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특임교수)
<발표 1> 지역 의회의 역할(전라북도 사례)
- 국주영은(전라북도 의회 의원)
<발표 2> 지역 행정의 역할(경기도 사례)
- 김남수(경기도 인권정책팀장)
<발표 3> 지역 시민사회의 역할(충청남도 사례)
- 이진숙(충청남도 인권위원회 위원장, 충남인권교육활동가모임 부뜰 대표)
<발표 4> 주민참여 사례(서울특별시 금천구청 사례)
- 안시형(서울특별시 금천구청 인권전문관)
[종합토론]
평등법, 다양한 질문에 응답하기
좌장 : 정문자(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발표 1> 장애 차별
- 김성연(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사무국장)
<발표 2> 성소수자 차별
- 이종걸(성소수자차별반대 무지개행동 집행위원장)
<발표 3> 이주민과 난민 차별
- 이완(아시아인권문화연대 활동가)
<발표 4> 고용형태 차별
- 나지현(전국여성노동조합 위원장)
<발표 5> 종교 활동과 평등법
- 이은혜(뉴스앤조이 기자)
<발표 6> 재난상황과 차별
- 어쓰(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발표 7> 미디어(온라인) 혐오 차별
- 김언경(민주언론시민연합 전(前)공동대표)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