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Ⅰ. 공공분야 인권강사양성 현황 실태조사 개요 ……………………… 1
1. 실태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실태조사의 범위 및 방법 …………………………………………… 4
3. 인권교육의 개념을 통해서 본 인권강사의 의미 ………………… 6
Ⅱ.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강사양성 운영 형태의 변화 ……………… 17
1. 워크숍 및 연수과정을 통한 강사양성 …………………………… 17
2. 단기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강사양성 …………………………… 20
3. 위촉제도를 통한 강사양성 ………………………………………… 23
Ⅲ. 공공분야 인권강사양성 현황 실태조사 결과 분석 ……………… 27
1. 인권강사양성의 일반적 현황 ………………………………………27
가. 응답자의 소속기관 현황 ……………………………………… 27
나. 응답자의 인권교육 업무 인원 현황 ………………………… 28
다. 응답자의 인권교육 업무 기간 현황 ………………………… 29
라. 인권강사양성 운영 기관 ……………………………………… 31
마. 인권강사양성의 배경 …………………………………………… 32
바. 인권강사양성의 예산 …………………………………………… 35
2. 인권강사양성과정의 운영 현황 …………………………………… 36
가. 인권강사양성과정의 모집 대상 …………………………… 36
나. 인권강사양성과정의 수료 기준 ……………………………… 38
다. 인권강사양성과정의 내용 ……………………………………… 40
3. 인권강사양성 후, 운영 현황 ……………………………………… 46
가. 인권강사로서 활동 시기 ……………………………………… 47
나. 인권강사의 활동 사항 ………………………………………… 47
다. 인권강사 모니터링 ……………………………………………… 50
라. 인권강사 보수교육 ……………………………………………… 51
4. 인권강사양성에 있어서의 어려움 ………………………………… 56
5.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인권강사의 의의 ………………………… 59
가. 인권을 ‘실천’하는 사람 …………………………………… 60
나. 인권을 끊임없이 ‘학습’하는 사람 ………………………… 62
다. 강사로서의 ‘책임감’이 있는 사람 ………………………… 64
Ⅳ. 인권강사양성에 있어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 66
1. 인권강사양성의 컨트롤 타워로써의 역할 ……………………… 67
2. 인권강사양성과정 표준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 69
3. 인권강사양성과정의 전문 교수진 구성 ………………………… 71
4. 인권 업무 담당자 정기 워크숍 운영 …………………………… 72
5. 인권교육원(가칭) 설립 및 운영 …………………………………… 73
Ⅴ. 종합 및 결론 ………………………………………………………… 75
참고문헌 …………………………………………………………………… 79
부록 ……………………………………………………………………… 81
○ 일본의 공공분야 인권강사 활동 사례 ………………………… 82
○ 설문지 ……………………………………………………………… 102
○ 심층면접질문지 ……………………………………………………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