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방법
Ⅱ. 성희롱 예방교육 관련 법제도 현황
1. 남녀고용평등법의 성희롱 예방교육 제도 현황
가. 예방교육 관련 법령의 개요
나. 예방교육의 내용과 방법
다. 예방교육 강사
라. 전문강사에 대한 접근성 제고
마. 예방교육 지정기관
2. 타 법정 예방교육과의 비교
가.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나. 안전보건교육
다. 성희롱 예방교육과 타 법정 의무교육과의 비교
3. 「양성평등기본법」 등에 따른 성희롱 예방교육
가. 양성평등기본법상 성희롱 예방교육 의무와 폭력예방교육
나. 교육의 내용과 방법
다. 강사의 자격
라.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의 전문강사 양성과정
Ⅲ. 성희롱 예방교육 실태
1. 예방교육 실시 현황
가. 민간부문
나. 공공부문
2. 예방교육 유경험 근로자 설문조사
가. 조사의 개요
나.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다. 조사 결과
라. 소결
3. FGI 및 심층면접
가. 조사 개요
나. 조사 결과
Ⅳ. 외국 사례
1. ILO 제190호 협약
2. 미국 연방
가. 의무화 여부
나. EEOC 태스크포스 보고서의 예방교육 모델 및 과제
다. EEOC의 예방교육 생산 및 제공
3. 캘리포니아주
가. 법정 의무교육
나. 청소산업에 대한 강화된 예방교육 의무
4. 뉴욕시
5. 소결
Ⅴ. 정책 개선 과제 및 방안
1. 예방교육의 효과 및 의의
2. 예방교육 미실시 사업장 감소를 위한 노력
3. 부적절한 방식에 대한 대응 정책
가. 자료배포, 회의석상 언급 방식
나. 상품판매
다. 10인 미만 또는 동성 사업장 예외조항
4. 예방교육 콘텐츠의 질적 수준 제고
가. 사례 중심 교육에 대한 높은 만족도, 집중도
나. 직급별 또는 경영진 대상 교육
다. 사업장별 특성을 반영한 ?춤형 교육
라. 목격자 교육 콘텐츠 개발
마. 고용노동부, 국가인권위 등의 콘텐츠 개발, 생산 역량 강
바. 노동위, 인권위 시정명령 및 권고에의 반영: ‘적절한’ 예방교
5. 예방교육 관리 체계
가. 민간
나. 공공
6. 적용범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