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집필진 |
소속 및 직위 |
제1부 노인의 인권 |
|||
1 |
노인인권 보호와 증진: 우리 모두의 권리를 위한 필수 과제 |
원영희 |
한국성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2 |
세계인권선언의 비전과 노인인권 |
이혜경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원장 |
3 |
노인인권과 연령주의 |
박재인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연구원 |
4 |
노인인권과 노인복지 |
최성재 |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
제2부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 삶 |
|||
5 |
인구고령화와 노인의 삶의 변화 |
정경희 |
(前)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6 |
노년기 삶의 자화상과 관련 제도의 한계 |
최혜지 |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7 |
100세 시대,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인 시기를 보내기 위한 제언 |
윤민석 |
서울연구원 약자동행연구센터장 |
제3부 노인인권 보장의 주요 권리 |
|||
8 |
노인 노동 실태와 빈곤 대응 방향 |
김태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빈곤불평등연구실장 |
9 |
노인 주거 여건과 주거권 보장 |
박미선 |
국토연구원 주거정책연구센터장 |
10 |
노인의 뇌 건강과 삶의 질 |
류인근 |
이화여대 석좌교수 뇌융합과학연구원장 |
11 |
노인의 외롭지 않을 권리 |
송효진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가족저출생연구본부장 |
12 |
초고령사회에서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 강화 |
권금주 |
서울사이버대학교 교수 |
13 |
삶의 마무리에 환자의 자율성 |
고윤석 |
서울아산병원 건강의학과 자문임상교수 |
제4부 노인인권 보장 방안 |
|||
14 |
노인 인권 증진의 국제 동향 |
최성재 |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이사장/ 서울대 명예교수 |
15 |
노인기본법 제정의 필요성 |
이찬진 |
제일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 |
16 | 권리 주체로서의 노인 | 이동우 | 국가인권위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