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권통계 2024 읽기 :
모두보기닫기
실태조사·연구용역 보고서 한국의 인권통계 2024
담당부서 : 인권정책과 발행연도 : 2024 등록일 : 2025-01-31 조회 : 1063


Ⅰ. 생애주기 구분과 생애주기 특성
 1. 왜 생애주기인가?    
 2. 생애주기의 이론적 고찰
 3. 생애주기 구분    
 4. 생애주기 특성과 인권 쟁점

Ⅱ. 생애주기와 인권    
 1. 아동·청소년기와 인권    
 2. 노년기와 인권    

Ⅲ. 자료와 분석 방법

Ⅳ. 생애주기별 인권 의식    
 1. 우리 사회의 사회적 약자의 권리 보장에 대한 인식    
 2. 우리 사회의 인권에 대한 태도

Ⅴ. 생애주기별 인권 상황 평가    
 1. 우리나라 인권 상황 전반에 대한 평가
 2. 생애주기별 인권 영역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3. 생애주기에 따른 인권 영역별 인식 심층분석

Ⅵ. 생애주기별 인권침해 및 차별 경험    
 1. 우리나라 전반적인 인권침해 정도에 관한 인식    
 2.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차별 정도에 관한 인식    
 3. 인권침해 취약 집단과 상황에 대한 인식    
 4. 생애주기별 인권 침해 경험    
 5. 차별로 인한 불이익    
 6. 인권침해 경험 유형    
 7. 인권침해에 따른 피해나 불이익    

Ⅶ. 생애주기별 인권침해와 차별 가해자 및 대처
 1. 생애주기별 인권침해 및 차별 가해자 특성    
 2. 생애주기별 가해자의 특성과 관계
 3. 생애주기별 인권침해 및 차별에 대한 대처

Ⅷ. 생애주기별 인권 교육과 인권 활동
 1. 인권 교육
 2. 인권 활동

Ⅸ. 젠더와 생애주기의 교차성
 1. 인권의식과 상황 평가
 2. 생애주기별, 젠더별 권리에 대한 인식 유형 및 특성
 3. 인권침해 및 차별 피해 경험의 성별, 생애주기별 비교

Ⅹ. 지역과 생애주기의 교차성    
 1. 인권 상황 변화에 대한 인식
 2. 자신이 인권 존중 받는 수준에 대한 인식
 3. 우리 사회 전반의 인권 존중 수준에 대한 인식
 4. 분석 결과 논의

?. 정책 제언
 1. 생애주기별 인권 정책 제언
 2. 젠더와 생애주기 교차성과 정책제언
 3. 지역과 생애주기 교차성과 정책 제안
 4. 인권 데이터 활용 방안

모두보기닫기
위로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