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교육원 교육과정 모듈 개발(전2권) 읽기 :
모두보기닫기
실태조사·연구용역 보고서 인권교육원 교육과정 모듈 개발(전2권)
담당부서 : 인권교육운영과 발행연도 : 2024 등록일 : 2025-02-26 조회 : 554

[인권교육원 교육과정 모듈 개발-제1권 연구결과보고서]

Ⅰ. 연구 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가. 인권교육 필요성과 확산
  나. 인권교육에 대한 국가 책무와 인권교육원 설립
  다. 인권교육원을 통한 인권교육 체계화 단계로 진전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가. 연구의 범위와 내용
 나.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

 

3. 연구 진행 경과

 

Ⅱ. 모듈 분야 관련 연구 및 자료 분석

1. 국내 연구 및 자료
  가. 인권강사양성과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김은희 외, 2021)
  나. 아동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인권실천 안내서(김희진 외, 2023)
  다. 경찰관을 위한 인권교육 기본서(경찰청 인권센터, 2020)
  라. 학교공동체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교육부, 2021)

 

2. 해외 자료
  가. <모듈 5. 아동권리와 참여>(독일국가인권연구소, 2016)
  나. 경찰을 위한 인권 기준과 관행 – 경찰을 위한 확장된 인권 포켓북 (유엔최고대표사무소, 2004)
  다. 국가인권기구: 역사, 원칙, 역할과 책임(유엔최고대표사무소, 2010)
  라. 국회의원을 위한 인권 핸드북(국제의회연맹&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2016)

 

Ⅲ. 분야별 구성 개요와 메타데이터

  1. 인권교육(기본)
  2. 사회적 약자(아동)
  3. 사회적 약자(장애인차별금지법의 이해)
  4. 경찰(기본과정의 기초)
  5. 인권조사(기본)
  6. 초·중·고 학교(기본과정의 기초)
  7. 기업과 인권 

 

Ⅳ. 향후 과제
  1. 기존 모듈 콘텐츠 업데이트
  2. 콘텐츠 확정 후속 작업 등
  3. 메타데이터 정리과 모듈 코드 개발 등

■ 참고문헌

 

[인권교육원 교육과정 모듈 개발-제2권 모듈형 기본교재 45종]

Ⅰ. 인권교육(기본)
  1. 인권교육의 의미와 역할
  2. 인권교육 기획과 실제
  3. 인권교육 구조 설계하기
  4. 인권교육 질문 설계하기
  5. 인권교육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이론
  6. 인권교육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실습
  7. 인권교육에서 마음열기 운영하기
  8. 인권교육에서 도전적 질문 다루기
  9. 아동을 위한 인권교육 가이드
  10. 발달장애인을 위한 인권교육 가이드
  11. 워크숍형 인권교육 단계별 매뉴얼 점검

 

Ⅱ. 사회적 약자(아동)
  12. 아동인권의 역사
  13. 아동권리협약의 이해
  14. 아동권리협약 비준에 따른 우리나라의 변화
  15. 새로운 아동권리 이슈의 등장
  16. 아동 관점으로 사회이슈 보기
  17. 아동인권 쟁점토의-아동 성착취
  18. 아동권리접근의 이해와 아동친화도시

 

Ⅲ. 사회적 약자(장애인차별금지법 이해)
  19. 「장애차별금지법」 알아보기 1
  20. 「장애차별금지법」 알아보기 2
  21. 인권패러다임으로 본 「장애차별금지법」 1
  22. 인권패러다임으로 본 「장애차별금지법」 2
  23. 쟁점으로 보는 「장애차별금지법」
  24. 해외 사례로 본 장애인 차별금지
   

 

Ⅳ. 경찰(기본과정의 기초)
  25. 경찰직무의 인권적 의미와 역할
  26. 경찰직무에서 인권적 관점
  27. 경찰조직의 인권역량 증진 실천
  28. 경찰 역사를 통한 인권적 성찰
  29. 민주주의와 경찰

 

Ⅴ. 인권조사(기본)
  30. 인권 찾기 2 : 사례 분석 토의
  31. 판단기준으로서 인권 찾기 : 사례 분석 토의\
  32. 인권침해 여부 분석 토의 1
  33. 인권침해 여부 분석 토의 2
  34. 인권상담 가이드
  35. 진정 요지 작성하기
  36. 조사계획 수립하기
  37. 사실관계 확정하기
  38. 인권침해 여부 의견 작성하기
  39. 조사결과보고서 작성하기
  40. 인권조사 실천계획 세우기
  

 

Ⅵ. 초·중·고 학교(기본과정의 기초)
  41. 학교공동체 공존의 지도 그리기
  42. 학교공동체를 위한 아동청소년과 인권
  43. 학교공동체를 위한 교사와 인권
  44. 학교공동체를 위한 인권사례 토의
  

 

Ⅶ. 기업과 인권
  45. 기업과 인권 실천 사례

 


 

모두보기닫기
위로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