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 > #해시태그 > 키워드로 보는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외침

#해시태그 [2020.03] 키워드로 보는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외침

글 편집실

 

인종차별 역사의 뿌리는 깊다. 피부색을 비롯한 인종의 차이는 오늘도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으로 등장한다. 그 뿌리 깊은 인종차별의 역사를 살펴보자.

 

1

 

# 남북전쟁

#고대의_인종차별 #링컨부터 #오바마까지
고대부터 시작된 노예제가 아메리카 대륙에 영향을 미친 것은 16세기부터 19세기 사이다. 특히 1861년 시작된 미국 남북전쟁은 노예제 철폐를 둘러싼 가장 굵직한 사건이다. 4년에 걸친 전쟁 끝에 노예제 폐지를 주장한 북군이 승리하면서 미국의 노예제는 공식적으로 종식됐다. 그리고 1863년 1월 1일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노예 해방령을 공포했고 이는 146년 뒤인 2009년,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버락 오바마를 배출한 초석이 됐다.

 

# 르완다 내전

#투치족 #후투족 #부족갈등
1919년 르완다를 지배한 벨기에는 소수민족이었던 투치족을 내세워 전체 인구의 85%에 달하는 후투족을 통치하게 하는 부족별 분리식민지정책을 실시했다. 이 구조는 1962년 르완다 독립 후에도 지속됐다. 이들의 갈등은 1994년 후투족 출신 르완다 대통령 쥐베날 하뱌리마나와 부룬디 대통령 시프리앵 은타랴미라가 비행기 요격사고로 사망하자 극에 달했고, 사고 이후 후투족 민병대는 투치족 민간인을 살해했다. 이때 살해당한 투치족 민간인은 르완다 전체 인구의 약 20%인 80만여 명으로 집계된다.

 

# 샤프빌 학살

#아파르트헤이트 #3월21일 #인종차별_철폐의_날
남아프리카공화국은 1950년 백인우월주의에 근거해 국민을 인종별로 구분하는 주민등록법 아파르트헤이트를 시행했다. 인종에 따라 거주지를 나누고 정해진 지역을 벗어나면 통행증을 소지해야 했다. 이에 반발한 국민은 1960년 3월 21일 “통행증이 없으니 모두 체포하라”며 평화 시위를 벌였다. 해산 과정에서 전투기까지 동원된 시위에서는 69명의 민간인이 사망했고 수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유엔에서는 이날을 기억하기 위해 매년 3월 21일을 국제 인종차별 철폐의 날로 선언했다.

 

# 나치정권의 유대인 차별

#인종차별의_법제화 #소수민족차별 #민족갈등
1935년 나치 독일이 제정한 뉘른베르크 법은 반유대주의의 시작이었다. 뉘른베르크 법을 시작으로 히틀러가 이끈 나치당은 단계적으로 유대인과 슬라브족, 집시, 동성애자, 장애인, 정치범 등 약 1,100만 명의 민간인과 전쟁 포로를 학살했다. 나치당의 민족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을 ‘종교’가 아닌 ‘인종’으로 여긴 학살이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나치정권의 최대 피해자였던 유대민족은 2018년 이스라엘에서 유대인을 제외한 자국 내 소수민족을 차별하는 ‘유대민족 국가법’을 제정해 인종차별을 법제화했다.

이전 목록 다음 목록

다른호 보기